위장 속 가스가 많으면 트림, 방귀 잦아진다. 천천히 먹고 탄산 음료 자제 해야
Image by 8photo on Freepik
아기가 하는 트림은 사랑스럽고 '향기'가 난다. 이러한 아기 트림은 모유나 분유를 먹인 후 반드시 트림을 하도록 유도해 다시 흘러나오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반면 성인이 하는 트림은 보기에 민망한 경우가 많다. 또한 역겨운 냄새까지 날 경우 그 사람의 좋은 이미지마저 무너뜨릴수 있다. 이러한 트림은 우리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연 내가 하는 트림은 괜찮은 걸까?
트림이 왜 나오는 걸까? 트림은 방귀와 같은 원리
우리 위장 속에 들어갔던 공기가 밖으로 나오는 게 트림의 원인이다. 이러한 공기는 음식을 먹을 때 위로 들어가게 된다. 방귀 또한 같은 원리로 발생한다. 트림과 방귀는 몸에 필요 없는 가스를 밖으로 방출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렇게 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줄이면 트림, 방귀도 적게 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다. 또한 음식을 급하게 먹으면 공기가 많이 들어가 트림이 자주 나올 수 있어 천천히 먹는것이 중요하다. 또한 민망하다고 트림을 자주 참으면 복부 팽만 등 몸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 해야한다. 이러한 트림과 방귀는 자연스런 생리 현상이므로 배출하는 것이 좋다.
트림 냄새 역하거나 신맛, 쓴맛이 난다면 위궤양, 위식도 역류질환 의심 해봐야
내가 하는 트림의 냄새가 심하면 몸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렇게 트림 냄새가 심하면 위궤양의 주요 증상 중 하나다. 특히 과민성장증후군이나 당뇨병이 생겨도 식후 복부 팽만감, 트림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신맛이 강하고 트림이 잦으면 위식도 역류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와 식도의 경계 부위를 조여주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져 위산이 섞인 위액이 식도로 거꾸로 넘어오는 병이다. 특히 트림할 때 쓴맛이 함께 풍기면 위식도 역류질환, 쓸개(담낭)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 빨리 대처해야... 후두염, 천식, 만성 기침의 원인... 커피, 술, 과식, 흡연 절제
흔히 위식도 역류질환이 심하면 식도염, 식도궤양을 일으키고 때로는 역류된 위산이 식도를 지나 목까지 넘어와 후두염, 천식, 만성 기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식도 역류질환이 흔한 유럽, 미국에선 식도암이 흔하게 발생한다. 이와 관련해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질환 예방-완화를 위해 식도 조임근의 압력을 낮추는 음식을 줄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카페인(커피, 청량음료), 술(맥주, 적포도주), 과식, 기름진 음식, 흡연 등이 이러한 역류성 질환을 잃으킬수 있다.
자주하는 트림, 방귀 때문에 불편 하다면... 천천히 음식 섭취하고, 탄산 음료 등 자제 해야
이렇게 트림, 방귀가 잦아 생활에 불편하다면 음식을 천천히 먹는 것이 증상을 완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음식을 급하게 먹으면 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증상이 잦아 질수 있다. 잦은 트림, 방귀를 덜 나오게 하려면 콩, 보리, 현미, 고구마 등 뿌리, 줄기, 씨앗 따위의 탄수화물 음식의 섭취를 한동안 줄이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음식은 건강에 좋은 음식들이지만 몸속에서 가스를 많이 만들 수 있어 트림, 방귀를 잦게 만들수 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크다. 또한 콜라 등 탄산음료, 껌, 사탕, 우유도 몸에서 가스가 쉽게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절제하는 게 트림, 방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면역력이 떨어 지기 쉬운 계절 가을... '대상 포진' 주의 (2) | 2023.10.20 |
---|---|
헬스장 앞에서 "뭐부터 하지?", 헬스장서 막막한 운동 시작 '운동 가이드' (2) | 2023.10.20 |
디지털 기기 사용 "고령도 유튜브, 카톡 잘 써요" 치매 인지기능과 우울증에 효과? (0) | 2023.10.19 |
자주 '사레' 잘 들려서 '콜록콜록', 젊다면 역류성 식도염 의심 (2) | 2023.10.19 |
현대인에게 흔히 찾아 오는 '손목 욱신욱신 거림'... 손목터널증후군, 손목건초염(드퀘르뱅병),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파열 의심 (3) | 2023.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