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지출비용, 지출 줄여 내 집 마련 비용 확보,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라봐야
Image by Freepik
30대 부부 재무설계, 월세로 가느냐 전세로 가느냐 고민 많은 직장인, 중요한 건 월평균 지출비용, 지출 줄여 내 집 마련 비용 확보, 장기적인 안목에서 바라봐야
최근 금리 인상으로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문제는 수요가 증가한 탓에 저렴한 월셋집을 구하기가 어려워졌다는 데 있다. 이번 상담한 주인공 A씨도 이중에 하나다. 상담자 A씨는 한달에 150만원씩 월세를 내는 탓에 저축이 쉽지 않다고 고백했다. 믿었던 지역주택조합은 수년째 답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A씨는 이대로 살아야 할까, 아니면 부담스럽더라도 전세로 옮겨야 할까. 더스쿠프와 한국경제교육원㈜이 A씨 부부와 이들의 고민을 함께 상담했다.
월세·전세는 중요하지 않다. 관련 비용이 매월 얼마나 지출되는지가 중요하다.
이번 상담의 주인공인 A(34)씨와 아내 B(35)씨는 집 문제로 인헤 고민에 빠져있다. 부부는 현재 투룸 오피스텔에서 월세(보증금 3000만원)로 지내고 있는데, 월세만 한달에 150만원을 내고 있다. A씨는 소득에 비해 너무 많은 월세를 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뾰족한 수가 없다고 밝혔다.
이 부부가 처음부터 월세 생활을 할 생각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부부가 결혼 전 지역주택조합에 초기 투자금 7000만원을 내고 가입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고 털어 놓았다. 또한 지역주택조합의 활동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지부진해졌기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언제 아파트를 시공할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간은 야속하게 흘러만 가고 있었다. 이러게 시간이 흘러 갈수록 부부의 부담감은 커져만 갔다. 부부는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부부가 상담에선 부부의 가계부 상태를 살펴 보았다. 부부 둘 다 중소기업에서 소득은 남편 265만원, 아내 325만원 등 총 590만원인 것으로 조사 됐다. 하지만 지출은 정기지출 405만원, 비정기지출 월평균 120만원, 금융성 상품 100만원 등 625만원인 것으로 털어 놨다. 이렇게 부부의 생화비의 적자는 월 3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부의 통신비는 (15만원→10만원)만원 정도로 줄였다.
이 부부에게 지역주택조합에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지역주택조합은 아파트 부지를 구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그 과정에서 한푼이라도 더 받으려는 기존 토지 소유자들로 인해 협상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주택조합 제도로 아파트를 완공하고 입주하는 사례도 무척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문제는 지역주택조합에서 탈퇴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란 점을 알아둬야 한다. 2020년 12월 11일 개정한 주택법에 따라 가입비를 납부한 시간으로부터 30일 이내에 탈퇴 의사를 밝히면 납부한 가입비 전액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주택법 개정 전에 조합원을 모집하기 시작한 조합은 이 법을 적용받지 못한다. A씨 부부는 2020년 이전에 가입비를 조합에 납부한것으로 털아 놓았다.
물론 지역주택조합의 가입비를 돌려받을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이러한 지역주택조합이 설립 인가를 받은 때로부터 3년이 지나도록 사업계획 승인을 받지 못했다면 가입비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주택조합이 목표를 달성하는 케이스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조합 가입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A씨 부부는 "지역주택조합이 아파트를 완공할 확률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면서 조금만 더 기다려보기로 한것으로 전했다. 전문가는 '지역주택조합 문제를 적절한 시점에 한번 더 논의해보자'는 의견을 건넨 뒤 부부에게 재무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A씨는 "은행예금 1억원과 주식 1억원 모으기, 암호화폐 5000만원 모으기"라며 투자를 하겠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이 강조하지만 재무목표는 목적, 준비기간, 준비수단이 명확한것이 중요하다. 자금을 막연히 '얼마를 모으겠다'고 목표를 잡는 건 동기부여가 되지 않아 실패할 확률이 높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을 모을수 있는 준비기간과 수단이 확실하지 않으니 효율적이지도 않다는 것으로 전했다. A씨 부부는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부부는 목표 설계를 다시 했다. 7년 안에 전세대출금 상환, 노후 준비, 미래의 자녀 교육비 마련 등 3가지 목표를 세웠다.
이렇게 목표도 설정했으니 이를 위해 부부의 지출을 본격적으로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월 150만원씩 내는 월세는 반드시 줄여이는 것이 중요하다. A씨 부부는 고민 끝에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총 2억원(연이율 4. 29%)을 대출받아 원룸 오피스텔을 구하기로 했다.
최근 금리가 많이 올라 전세대출금 이자가 예전보다 부담스러워지긴 했지만, 계산해보니 월세 150만원을 내는 것보다 전세대출금 이자를 갚는 게 더 저렴 하다는 판단을 했다. A씨 부부의 계산대로라면 월세 150만원이 가계부에서 사라지는 대신, 갚아야 할 대출이자가 월 70만원 추가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론 80만원을 절약이 된다.
그다음 계획으로 A씨 부부는 용돈(총 60만원)을 이는것을 목표로 삼았다. A씨 부부는 신혼 데이트라는 명목으로 데이트 비용을 용돈에서 쓰고 있다고 밝혔다. 부부가 신혼을 즐길 필요가 있으니 부부는 각자 5만원씩만 데이트 비용을 줄이기로 계획을 세웠다. 이렇게 함으로 인해 용돈은 6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줄든 셈이다.
이렇게 잠시 중간 점검을 해봤다. A씨 부부는 상담에서 줄인 통신비 5만원(20만→15만원)을 시작으로 월세 150만원(150만→0원), 용돈 10만원(60만→50만원) 등 165만원을 절약하는 데 성공한 셈이다. 새 지출로 추가한 또한 전세대출금 이자(70만원)를 빼면 총 95만원을 아끼게 된다. 이에 따라 35만원 적자는 60만원 흑자로 전환하는 효과를 보게 됐다.
이 부부는 아직 줄여야 할 것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혔다. 이 부부가 매달 60만원씩 빠져나가는 신용카드 할부금은 물론, 비정기지출(월평균 120만원)도 어떻게 줄여야 할지 고민을 해 봐야 한다. 이렇게 비정기지출은 말 그대로 '정기적이지 않은 지출'이지만, 그렇다고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면 안된다. 예산을 세우고 관리하지 않으면 가랑비에 옷 젖듯 알게 모르게 지출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비정기지출들을 어떻게 줄이면 좋을지에 대해서도 고민을 해봐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