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 치료'에 반응하는 우울증 청소년에서 '신경 세포 회복'이 나타나
Image by Freepik
"신경 세포 회복을 통한 항우울제 치료의 가능성"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우울제 치료에 반응하는 우울증을 가진 청소년들은 뇌의 위축된 신경 세포가 회복되며 편안한 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김재원 교수팀이 주도한 것으로, 12~17세의 우울증을 가진 청소년 95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치료과정에서 뇌 내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의 우울증 치료에는 항우울제가 널리 사용되며, 특히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을 보이는 청소년들에게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가 1차 약물 치료로 주로 처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의 효과는 다양하며, SSRI의 단독 투여 관해율은 55%이며, 다른 치료와 병행 시에는 60%의 관해율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더 나은 치료 효과를 위해서는 우울증 증상의 호전과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이해하고 치료 지표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대어린이병원 기분과 불안 클리닉'에 내원한 우울증 청소년 95명과 우울증이 없는 청소년 5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가 뇌의 신경생물학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우울증 청소년들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에스시탈로프람을 8주간 투여받았으며, 치료 전후에는 소아청소년 우울증 평가 도구인 CDRS-R을 이용해 우울 증상을 평가하고 구조적 뇌 MRI 및 휴지기 기능적 MRI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뇌의 신경생물학적 변화 분석: 서울대어린이병원 연구 결과"
연구 결과, 우울증 청소년의 약 54%가 항우울제 치료 후 우울 증상이 개선된 치료반응군으로 분류되었다. 이 치료 반응군의 경우 배외측 전전두피질의 부피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신경 위축과 관련된 전전두피질 부피의 감소를 회복하고 있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치료 반응군에서는 배외측 전전두피질과 상전두이랑 및 복내측 전전두피질 사이의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치료 후 뇌 연결 상태가 더 편안한 상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김재원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항우울제 치료가 청소년 우울증에서 뇌의 구조와 기능적 연결성 변화를 함께 수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항우울제 치료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말하며, 이 연구 결과가 우울증 치료에 새로운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건을 깔끔하게 세탁하는 방법 10가지 (1) | 2023.08.22 |
---|---|
무더운 여름철 '배탈'이 났을 땐 보리차가 좋은 6가지 이유. (1) | 2023.08.22 |
'스트레스 호르몬' 알려진 코티솔 수치 낮추는 10가지 방법 (2) | 2023.08.21 |
한국인이 사랑하는 '치킨+맥주', '치맥' 정말 통풍을 유발할까? (4) | 2023.08.21 |
남성들의 전립선이 위험하다. 3위로 올라간 전립선암… 50세 이상은 해마다 '전립선 특이항원' 필수 (3) | 2023.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