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저 칼로리 인공 감미료 섭취 건강에 문제 없을까?

by 오유가죽공방 2023. 10. 11.

 

인공 감미료 정기적으로 많이 섭취하면 개인 식습관에 안좋은 영향 줄 수도 있어

인공 감미료 섭취 건강에 문제 없을까?
인공 감미료 섭취 건강에 문제 없을까?

Image by sergiorojoes on Freepik

 



우리가 섭취하는 인공 감미료에 열량이 낮거나 아예 없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체내에서 분해 및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인공 감미료는 화학 구조와 대사 경로가 설탕과 다르기 때문에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배출 된다. 인공 감미료는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설탕과 달리 대다수 에너지로 대사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대사 부산물 형태로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미료 아스파탐

이러한 감미료의 대사 경로를 예로 들어봤다. 먼저 인공 감미료로 잘 알려진 아스파탐은 두 가지 아미노산(아스파르트산·페닐알라닌)으로 구성된 저칼로리 감미료로 알려졌다. 아스파탐의 경우 섭취 시 위장관에서 아미노산과 메탄올로 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들 성분은 다른 단백질이나 알코올과 유사하게 몸에서 흡수되고 대사를 이루게 된다.

 

감미료 수크랄로스

또 다른 감미료는 자당에서 추출한 수크랄로스에 대해 알아 보자. 수크랄로스는 우리 몸은 변형된 성분 구조로 당 분자를 인식하지 못해 분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섭취한 수크랄로스의 약 85%는 위장관에 흡수되지 않고 대변을 통해 우리 몸 밖으로 배출 된다. 또한 흡수되는 매우 적은 양은 최소한의 신진대사 작용을 거쳐 소변을 통해 빠르게 배출된다.

 

감미료 스테비아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스테비아는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의 잎에서 추출한 천연 감미료에 대해 알아 보자. 활성 화합물인 스테비올 배당체는 상부 위장관(위·십이지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는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몸의 결장으로 들어가면 장내 박테리아가 스테비올 배당체를 스테비올로 가수분해하고 이후에 간에서 흡수되 우리 몸에서 대사를 이룬다. 이러한 스테비올은 글루쿠론산(포도당 산화물질)과 결합해 소변으로 우리 몸에서 배출된다.

 

 

감미료가 많이 든 식품, 식욕 관계에 대해 이어지는 논쟁

이렇게 감미료가 식욕이나 배고픔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는 논쟁이 아직 까지 이루어 지고 있다. '감미료가 많이 든 식품을 먹었더니 식욕이 증가했다'거나 '고칼로리 음식을 자제할 수 있었다'는 등 다양한 개인적인 경험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인공 감미료에 대해 일부 연구에서는 감미료를 섭취하면 식욕이 증가하고 과식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 된 바가 있다. 하지만 식욕에 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도 존재 한다.

또한 감미료가 식욕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은 감미료의 단맛이 단 음식에 대한 갈망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논쟁이 여전히 존재 한다. 이러한 감미료는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그렐린·렙틴)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배고픔을 유발하고 잠재적으로 과식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 인공 감미료는 단맛을 음식 칼로리양과 연관 짓는 몸의 능력을 저해할 수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칼로리 섭취를 조절하는 능력을 훼손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칼로리 섭취를 증가시키는 잘 못된 형태의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어 주의

칼로리 섭취 없이 감미료를 먹으면 뇌는 몸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에너지 증진 효과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뇌의 예상과 달리 몸에 보충되지 않는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한 식욕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식습관 측면에서 감미료는 설탕보다 훨씬 더 달콤한데, 정기적으로 감미료를 섭취하면 맛에 대한 선호도가 바뀌고 단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수 있다는 가설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식이 선호 변화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음식에 대한 선호로 이어져 전반적인 식단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보상 효과에 대해 관련된 부분도 존재 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일부 사람들은 저칼로리 감미료 섭취를 통해 칼로리 섭취량을 절약하는 것을 고칼로리 음식 섭취를 정당화하는 이유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된 바가 있다. 이러한 보상 효과는 오히려 칼로리 섭취를 증가시키는 잘 못된 형태의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어 주의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인공 감미료는 몸에서 대사되지 않아 그 자체의 섭취는 다양한 이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정기적으로 많이 섭취하면 개인 식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실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연구 결과도 보고 된 바가 있다.

320x100
사업자 정보 표시
오유가죽공방 | 오유정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신로 7번길 15 1층 오유가죽공방 | 사업자 등록번호 : 511-10-33859 | TEL : 010-4045-4570 | Mail : happy5uj@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8-경북포항-005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