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위고비·삭센다' 비만 치료제 부작용 경고…"위장 질환 부작용 우려"

by 오유가죽공방 2023. 10. 9.

비만 치료제 부작용 캐나다 연구팀 "위장 질환 위험성, 제품 경고 표시해야"

비만 치료제 삭센다, 위고비, 오젬픽
비만 치료제 삭센다, 위고비, 오젬픽


 

살 빼는 약들이 췌장염·장폐색·위 무력증 등 심각한 위장 질환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비만 치료제는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후 비만 치료제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오젬픽·리벨서스·위고비(세마글루티드)’와 ‘삭센다(리라글루티드)’ 등 살 빼는 약들이 췌장염·장폐색·위 무력증 등 심각한 위장 질환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세마글루티드와 리라글루티드 성분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에 작용하는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GLP-1 작용제는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지난 10여 년간 체중 감량제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비만 치료제가 다이어트약으로 인기를 끌면서 ‘꿈의 다이어트 약’으로...


GLP-1 작용제는 2021년에 비만 치료제로 허가가 됐다. 2022년 미국에서만 4,000만 건이 이상이 처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비만 치료제는 국내에서도 처방을 통해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비만 치료제가 다이어트약으로 인기를 끌면서 ‘꿈의 다이어트 약’으로 불리고 있다.

한편 위고비의 경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다이어트 비결로 꼽으면서 세계적 품귀 현상까지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이번 연구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마야르 에트미넌 교수와 모히트 소디 연구원(박사과정)은 최근 미국의사협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 성분인 ‘세마글루티드’ ‘리라글루티드’와 췌장염·장폐색·위무력증 등 사이에 강한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연구 결과로 밝혀 냈다.

또한 연구팀은 2006~2020년 미국에서 세마글루티드·리라글루티드를 처방받은 1,600만 명에 대한 건강보험 청구 기록을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이들 약물과 췌장염·장폐색·위 무력증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다른 비만 치료제 ‘부프로피온-날트렉손(콘트라브)’ 사용자와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부작용으로 심한 복통을 일으키고, 입원·수술이 필요한 췌장염 위험이 9.09배 높아

연구 결과, 세마글루티드·리라글루티드 사용자들은 콘트라브 사용자보다 심한 복통을 일으키고, 입원·수술이 필요한 췌장염 위험이 9.0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이 소장·대장을 통과하지 못해 경련·복부 팽만감·메스꺼움·구토 등을 일으키는 장폐색 위험은 4.22배, 음식물이 위장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해해 구토·메스꺼움·복통 등이 나타나는 위 무력증 위험은 3.67배 높은 것으로 연구 결과 밝혀졌다.

이어 연구팀은 다만 이들 약물의 체중 감량 효능을 조사하는 무작위 임상 시험은 표본이 작고 추적 기간이 짧아 위장 장애 포착이 어려웠다며 조사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전했다.

이번 연구는 GLP-1 작용제를 사용한 비(非)당뇨병 환자의 위장관 부작용에 대한 첫 대규모 연구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에트미넌 교수는 “체중 감량을 위해 이들 약물을 사용한 일부 환자가 위 무력증과 메스꺼움, 구토 등을 보고한 적이 있지만, 이들 약물과 위장 질환 간 연관성에 대한 대규모 역학 연구 데이터는 없다”며 역학 연구의 부제도 밝혔다.

이번 논문 제1 저자인 소디 연구원은 “이들 약물은 인터넷에서 쉽게 주문할 수 있는 등 접근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광범위한 사용을 고려할 때 체중 감량을 위해 이런 약물을 사용하려는 사람은 부작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부작용에 대해 주의를 당부 했다.

또한 그는 “이들 약물의 부작용은 환자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라며 “규제 기관과 제약업체가 현재 제품의 경고 표시에 포함돼 있지 않은 위 마비 등 위장질환 위험을 경고에 추가하기를 바란다”다며 위험 경고에 대한 표시를 당부했다.

 

일라이 릴리가 개발한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일라이 릴리가 개발한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한편 최근 출시된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의 신약 ‘마운자로’도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로 시중에 판매 중이다.

이러 한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체내 호르몬인 GLP-1의 유사체로 작용해 음식을 먹지 않아도 포만감을 느끼도록 만들어 체중 감량 효과를 내는 원리로 비만을 치료한다. 또한 위고비는 매일 1회 맞아야 하는 삭센다와 달리 1주일에 1회만 주사하고, 임상시험에도 뛰어난 체중 감소율을 보이며 많은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비만 치료제 삭센다는 56주 투약 기준 9.2%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반면, 위고비는 68주간 15.6% 체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마운자로는 지난 6월 국내에선 당뇨병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는데, 비만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에서 최대 22.5% 감량 효과를 보여 비만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320x100
사업자 정보 표시
오유가죽공방 | 오유정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신로 7번길 15 1층 오유가죽공방 | 사업자 등록번호 : 511-10-33859 | TEL : 010-4045-4570 | Mail : happy5uj@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8-경북포항-005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